__>

전체 글 69

심리학개론/정서

인간이 경험하는 가장 기본적인 느낌에는 갈증과 배고픔뿐만 아니라 즐거움이나 분노와 같은 정서(Emotion)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정서는 동기와 매우 밀접한 관계성을 가지고 있다. 정서는 동기와 같이 행동을 활성화하거나 그 행동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정서는 동기화된 행동을 수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성(sex)은 하나의 강력한 동기일 뿐만 아니라 즐거움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동기와 정서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동기와 정서를 구별해 주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가 주로 내부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반면, 정서는 주로 외부 요인에 의해 유발된다. 둘째, 동기가 주로 특정 욕구에 의해 유발되는 반면, 정서는 광범위한 종류의 자극에 의해 유발된다. 그러나 ..

심리학개론 2020.12.15

심리학개론/작업 동기

앞서 살펴본 생리적 동기는 인간과 동물 모두가 가지고 있다. 생리적 동기에 의존하여 삶을 보다 원활하게 영위해 가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생리적 동기의 충족이 주는 만족에 그치지 않고, 더 고차원적인 형태의 심리적 동기를 추구한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과 게으름을 피우는 사람의 행동을 이러한 심리적 동기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적 동기의 한 부분인 작업 동기(Work Motivation)를 통하여 인간과 일 사이의 동기 문제를 살펴보자. 1)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 동기이론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이론이 매슬로(Maslow, 1987)의 욕구위계(hierarchy of needs)이론이다. 매슬로에 의하면, 동기의 근원은 욕구로 인간은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 다섯 가지 기본 욕..

심리학개론 2020.12.14

심리학개론/생리적 동기(2)

생리적 동기1편 링크 4) 성 행동 물과 음식을 섭취하는 행동이 개체가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종(種, species)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생식(生殖, reproduction)도 필수적이다. 또한 어떤 종에게는 공격적 행동도 생존에 필수적이다. 공격성과 생식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성 행동과 공격성을 연이어 다루는 한 가지 이유다. 또 다른 이유는 성 행동과 공격성이 서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성 행동과 공격성은 앞서 살펴본 갈증, 배고픔과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차이점도 가지고 있다. 갈증과 배고픔처럼 성과 공격성도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첫째, 성과 공격성은 ..

심리학개론 2020.12.13

심리학개론/생리적 동기

1) 욕구 헐(Hull, 1943)의 추동이론(drive theory)에 따르면, [그림 1]에서 보듯이 생리적 박탈과 결핍(물, 음식, 수면 등의 부족)이 생물학적 욕구를 생성하는데, 그 욕구가 계속 충족되지 않으면 심리적 추동이 생긴다. 추동(推動)이라는 것은 생물학적 결핍에 기인하는 심리적 불편함, 즉 긴장감이나 불안감을 지칭하는 이론적 용어다. 이러한 추동 에너지는 유기체가 생리적 욕구를 해결하는 행동을 하도록 이끈다. 그러므로 욕구(need)란 유기체가 생명을 유지하고 성장하며, 안녕을 도모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간과하거나 욕구가 좌절되면 생물학적·심리적 안녕이 방해받게 된다. 동기화 상태는 이러한 방해를 받기 전에 유기체가 행동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림 1 - ..

심리학개론 2020.12.12

심리학개론/문제 해결과 의사결정

인간의 인지 과정은 사고 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체계성에 대한 조사는 인지심리학의 오랜 주제 중의 하나였으며, 문제 해결 (problem solving) 분야를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문제 해결 과정은, 것께 문제의 인식, 둘째 문제의 정의, 셋째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 구성, 넷째 문제에 대한 정보 조직화, 다섯째 자원 할당, 여섯째 해결 여부 점검, 일곱째 문제 해결의 평가 단계를 순환적으로 거친다. 즉, 일곱개의 평가 과정에서 문제 해결이 완벽하지 못할 경우, 첫째 단계로 되돌아가 문제 해결 과정을 다시 거치거나, 아니면 셋째부터 여섯째까지의 과정을 부분적으로 되풀이하게 된다. 1) 알고리듬과 어법 문제 해결에 대한 인공 지능 모형(art..

심리학개론 2020.12.11

심리학개론/지식 표상

기억에 저장된 심리적 표상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지식(knowledge)의 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지식 표상에는 외부의 이미지를 감각적 이미지 그대로 표상한다는 심상(imagery)론과 의미를 가진 단어들을 명제(proposition)로 연결해서 표상한다는 명제론이 있다. 예를 들어, 심상론자의 경우 털이 북슬북슬하고 꼬리를 흔들며 네 발로 걸어 다니는 개의 모습과 짖는 소리와 같은 감각적 정보가 개의 지식 표상을 구성한다고 본다. 반대로 명제론자는 '개'와 연결된 여러 특성을 의미하는 언어적 기술의 명제적 연결, 쉽게 말하면 관련 단어들의 관계( '개' ' 네발' -' 짖다' '집지키기' ........)가 '개'를 표상한다고 주장한다. 1) 심적 회전 쉐퍼드와 메츨러(Shepard & Metz..

심리학개론 2020.12.10

심리학개론/망각 과정과 기억 왜곡

기억 실패, 즉 망각의 원인을 설명하는 데에는 두 가지 관점이 있다. 하나는 경쟁하는 다른 정보 때문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잊어버리는 간섭(interference) 이론이고, 또 하나는 단순히 시간이 흘러가면서 기억 항목이 점차 사라지는 쇠잔(decay) 이론이다.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 중 브라운-피터슨(Brown- Perterson) 과제의 경우, 피험자에게 3~4개의 기억 항목을 제시하고, 그가 기억 항목을 암송해야 하는 파지 간격(delay interval, 기억 항목 제시부터 검사까지 간격) 동안, 그에게 부가적 과제(방해 과제)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단기기의 저장을 방해한다. 예를 들어, 피험자가 T, F, K와 같은 알파벳 낱자를 암송하는 동안 숫자 300을 3씩 감산( 300, 297,..

심리학개론 2020.12.09

심리학개론/처리 과정으로서의 기억

앞서 설명한 애트킨슨과 쉬프린(Atkinsion & shiffrin, 1998)의 기억 모형에서는 암송과 정보의 조직화가 단기기억에 저장된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전환 과정에 대한 모형으로 인지심리학자들은 기억 공고화(memory consolication) 가설을 제인 하였다. 공고화 과정은 암송과 정보의 조직화에 따른 기억 속의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의 연합을 의미하며, 불안정하고 망각하기 쉬운 단기기억장치 속의 새로운 정보를 암송과 조직화에 의해 장기기억장치에 안정된 상대로 저장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공고화 과정의 존재에 대한 검증은 공고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연합을 방해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일례로, 스파이어(Squire, 1986)는 전기 충격 치료(e..

심리학개론 2020.12.08

심리학개론/기억 이론

기억이란 무엇일까? 인지심리학자들은 기억을 과거 경험으로부터 얻은 정 보와 지식을 유지하고 현재에 되살려 주어진 과제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으로 정의하고 있다(Tulving, 2000; Tulving & Craik, 2000), 기억은 대략적으로 부호화(encoding), 저장(storage), 인출(retrieval)의 세 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부호화는 감각 정보가 기억 속에 저장 가능한 표상(memory representation)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말하고, 저장은 부호화된 정보를 기억 속에 유지하는 역할을 일컫는다. 인출은 기억 속의 정보를 과제 수행을 위해 이끌어 내는 과정이다. 기억 연구를 위해 흔히 사용하는 과제는 크게 회상 과제(recall task)와 재인 과제(re..

심리학개론 2020.12.07

심리학개론/조작적 조건화(3)

3) 자극 통제 조작적 조건화에서 특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강화와 처벌 같은 그 행동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꼭 결과만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행동이 발생하기 전에 존재하는 자극 상황 역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실험용 쥐를 실험 상자에 넣어 두고 고정비율 1(FR 1) 스케줄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시켜(즉, 쥐가 지렛대를 한 번 누를 때마다 한 번씩 먹이가 나오도록 실험 상황을 조작함) 그 행동의 빈도가 높아졌다고 가정해 보자. 이 상황에서 실험 상자 위에 빨간 전구와 파란 전구를 하나씩 설치한 후, 30초 동안은 빨간 불을 켜 두고 그다음 30초 동안은 파란 불을 켜 두는 과정을 되풀이한다. 그리고 빨간 불이 켜진 상태에서는 항상 F..

심리학개론 2020.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