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전체 글 69

심리학개론/조작적 조건화(2)

소거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의 연합이 줄어듦에 따라 조건 반응의 소거가 이루어진다. 이에 비해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강화에 의해 행동의 빈도가 증가한 경우, 강화인의 제공이 감소함에 따라 그 행동의 빈도도 감소하여 소거가 이루어진다. 즉, 조작적 조건화에서 소거란 강화인이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 행동의 빈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스키너는 이 소거 현상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어느 날 실험실에서 쥐에게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시키는 도중 기계의 오작동으로 쥐가 지렛대를 눌러도 음식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그러자 쥐는 지렛대 누르는 행동을 점차 보이지 않더니 결국에는 그 행동을 전혀 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소기 현상은 인간에게도 흔히 나타난다. 한 학생이 교실에서 선생님의 질..

심리학개론 2020.12.05

심리학개론/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는 스키니(Skinner)에 의해 가장 체계적으로 연구되었다. 그 는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구분하기도 하였다. 스키너의 이러한 업적에는 많은 사람이 영향을 미쳤는데, 그중 한 사람이 손다이크(Thorndike)였다. 미국에서 심리학을 공부한 손다이크는 당시 자극과 반응의 관계를 연구한 러시아 심리학자들과는 달리, 행동과 그 결과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그는 이른바 문제상자(puzzle box)라는 것을 만들었다. 문제상자는 고양이를 그 속에 넣었을 때 고양이가 나무 페달을 밟아 문을 열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행동과 결과의 관계성을 연구하기 위해 손다이크는 문제상자 안에 배고픈 고양이를 넣어 두고 밖에는 생선을 놓아 두었다. 그리고 이 상..

심리학개론 2020.12.05

심리학개론/고전적 조건화

고전적 조건화(classiccal conditioning)는 흔히 반응 조건화(respondlent conditiconing) 혹은 파블로프 조건화(Pavlovian conditioning)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린다. 특히, 파블로프 조건화는 고전적 조건화가 최초로 파블로프(Pavlov)에 의해 체계적으로 연구되었다는 점에서 나온 명칭이다. 파블로프는 소화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가져, 개에게 고깃가루를 먹인 다음 타액의 분비 현상에 대해 관찰하였다. 파블로프는 개의 타액을 타액 분비선에 튜브를 연결시켜 측정하였는데, 갈은 고기를 줄 때마다 이와 연합된 자극에 대해서도 개가 타액을 분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개가 고기를 담은 그릇이나 고기를 준 실험 보조원, 심지어 실험 보조원의 발자국 소리 등..

심리학개론 2020.12.04

심리학개론/학습이란 무엇인가?

학습(learning)이라는 단어를 떠올릴 때 우리는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하는 공부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심리학에서의 학습은 이보다 훨씬 더 넓은 개념이다. 인간이 태어나서 학습 없이 할 수 있는 행동은 극히 제한되어 있지만, 학습을 통해 실로 다양한 행동을 배워 나간다. 말하자면 학습은 학교 공부뿐 아니라 것가락질을 배운다든지, 신발 끈을 맨다든지, 자전거 타기나 운전을 배우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다. 이렇게 우리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이를 유지해 나간다. 결론적으로 학습은 “경험을 통해 얻는 행동과 지식에서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 라고 정의할 수 있다. 포유류를 포함하여 일부 다른 동물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인간만큼 그 능력이 뛰어난 종은 없다. 아..

심리학개론 2020.12.02

심리학개론/지각과 주의

지각 과정에 대한 기존의 연구자들은 인간이 비교적 대량의 감각 정보를 매우 다르게 처리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외부 세계에 존재하는 압도적인 감각 정보의 양을 고려할 때 경우에 따라서는 정보의 선별적 처리가 불가피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인간의 정보 처리 능력에는 한계가 있으며, 매 순간 가장 중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효율적 정보 처리를 달성할 수 있다는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1) 시각 탐색 과제 감각과 지각 분야에서 이러한 선택적 정보 처리의 메커니즘을 밝히려는 시도가 선택적 주의(selective arention)에 대한 연구 분야에서 있었다. 시각 분야의 선택적 주의에 대한 연구는 시각 탐색 과제(risual search task)를 사용한 실험을..

심리학개론 2020.12.01

심리학개론/지각 과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지각의 하위 체계인 단순 물리자극을 조합해 지각의 대상인 물체의 전체적인 형태를 파악하는 처리 방식을 상향적(bottom-up) 처리라 일컫는다. 반면에 기억 또는 학습을 통해 습득한 과거의 지식이 지각의 하위 체계 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하향적(top-down) 처리라 일컫는다. 이 두 과정은 지각 과정의 여러 모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상향적 시각 정보 처리 모형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향적 정보 처리 과정을 이론화한 예로 세부특징모형(feature-matching model)이 있다. 셀프리지(Selfridge, 1959)가 제안한 이 모형에 따르면, 시각 이미지에 대한 지각은 그 이미지를 분석하고 조직화..

심리학개론 2020.11.30

심리학개론/시각 과정의 기능적 이해

시각 시스템은 다양한 시각 정보를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망막에 존재하는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는 망막의 여러 세포 사이의 체계적 연결에 의해 구성된 신경회로에서 처리된 정보를 수렴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신경절 세포는 시야의 특정 위치를 전담하여 처리하는데, 이러한 시야의 특정 분야에 대응되는 망막상의 위치를 그 세포의 수용장(receptive field)이라 명명한다. 신경절 세포의 수용장은 일반적으로 원형 구조를 가지며 수용장의 중심 부분과 주변 부분의 특성이 매우 다르다. 어떤 세포는 수용장 중앙에 빛 자극이 제시되면 활발하게 반응 하지만 빛 자극이 수용장의 주변부에 제시되면 오히려 반응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중심 흥분 - 주변..

심리학개론 2020.11.29

심리학개론/시각의 신경해부학적 구조

감각과 지각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감각기관의 신경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단락에서는 시감각기관의 신경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감각과 지각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1) 안구의 구조와 망막 인간의 시각 과정에서 가장 초기에 해당하는 눈은 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외부 세계의 사물로부터 반사된 빛은 각막(cornea)과 동공(pupil) 및 수정체(lens)를 지나 유리질(vitreous humor)을 통과하여 감각수용기가 분포하는 망막(retina)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망막에 뚜렷한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수정체는 수정체 주변의 모양체근(ciliary muscle)에 의해 두께가 조절된다. 응시의 대상이 되는 사물은 수정체의..

심리학개론 2020.11.28

심리학개론/감각과 지각의 측정

여러분은 백화점에서 산 멋진 옷이 집에 와서 다시 보니 갑자기 몇 년을 입은 색 바랜 옷처럼 느껴졌던 경험이 있는가? 분명히 옷의 색상 자체가 변화한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백화점의 조명등과 집 안의 실내등 아래 옷감의 색상은 매우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이는 백화점의 조명등과 집안의 실내등이 발산하는 빛의 특성이 다르므로 옷감의 표면이 각기 다른 파장 (wavelength)의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시각 기관은 이러한 미세한 차이를 감지할 만큼 매우 정교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외부 세계의 물리적 자극을 내면화하는 과정의 가장 초기 단계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자극의 물리적 특성을 신경전달 신호로 변환하는 감각수용기(sensory receptor)가 존재한다. 감각수용기는 외부 세계의 물리적..

심리학개론 2020.11.27

심리학개론/내분비계

신경전달물질 다음으로 유기체 내에서 정보 전달에 중요한 화학물질은 분비계(endocrine system)의 분비세포에서 생성되는 호르몬(hormone)이다. 호르몬은 분비세포에서 생성된 후 혈류로 방출되어 운반되다가 표적기관의 특정 호르몬 수용기와 결합하게 되면, 신진대사, 성장, 생식 등 특정의 생리적 효과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insulin)은 당 대사를 조절하고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바소프레신(vasopressin)은 신장으로 하여금 물을 보유하게 한다. 또한 유기체가 위급한 상황에 닥칠 때, 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 또는 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켜 부신선(adrenal gland)으로부터 코르티솔(cortisol), 에프네프린 또는 노르에프네프린 등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심리학개론 202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