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심리학개론 55

심리학개론/심리검사의 발달[심리측정과 평가]

심리검사의 기원 속에 동·서양의 시험제도까지도 포함시킬 수 있으나, 객관적인 검사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시기를 19세기 이후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대략 1800년대 이전에는 사람들 간의 개인차를 인정하지 않았고, 어떤 능력에서 차이가 생기면 그것은 게으르거나 의지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1800년대 중엽, 지능의 유전 가능성과 개인 능력의 측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갈톤(Galton)은 간단한 감각-운동검사를 개발하여 개인차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고, 개인차를 강조하는 영국의 생물학 분야의 발전과 측정 이론을 뒷받침하는 통계학의 발전이 심리검사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와 함께 1897년 흔히 심리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분트(Wundt)에 의해 실험심리학이 발전하면서, 물리학처..

심리학개론 2020.12.23

심리학개론/심리평가의 이해- 심리평가의 정의와 목적

이 절에서는 심리평가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와 함께 주로 사용되는 검사 도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비록 심리평가라는 용어보다는 심리검사라는 용어가 더 익숙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굳이 이들을 구분하는 것은 한 개인을 평가하는 데 단순히 심리검사 결과에만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더 나아가 단편적이며 잘못된 해석을 내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리평가 (psychological assessment)란 심리검사, 면담 그리고 행동 관찰 등 여러 방법으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일련의 전문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Goldstein & Hersen, 1990), 물론 심리평가 과정에서 심리 검사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정이지만, 이외에도 개인 기록이나 면담, 자연적 상황..

심리학개론 2020.12.20

심리학개론/성인 초기·중년기·노년기[발달심리학]

성인기는 세 개의 시기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것이 성인 초기(약 20~40세), 중년기(41~65세) 그리고 노년기 (65세 이상)다. 물론, 이러한 시기 내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하위 시기로 다시 구분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이러한 포괄적인 시기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는 것에 한정할 것이다. 1) 신체 발달 성인 초기 대부분의 사람에게 성인 초기는 신체적 역량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다. 그래서 이 시기의 사람들은 대부분 건강보다는 다른 사회적 성취나 대인관계에 더 관심을 기울인다. 신체의 크기는 10대 후반에 최고조에 달하고, 근력은 30대 초까지 계속해서 증가한다. 능숙한 손놀림이나 협응, 그리고 시각 및 청각과 같은 감각 능력도 최고조에 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도 곧 쇠퇴하기 시작한다...

심리학개론 2020.12.19

심리학개론/유아·아동·청소년기(2)

유아·아동·청소년기 1편 링크 3) 도덕 발달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이 도덕적인 사람으로 평가받기를 원하지만, 실제 도덕성의 수준에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덕적으로 성숙한 사람은 개인적 보상과 무관하게 사회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수행하는 사람이다. 이들의 핵심적인 특징은 학습한 도덕적 원칙을 내면화해서 그에 근거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발달심리학자들은 도덕성의 구성 요소를 정서적 요소, 즉 도덕적으로 행동하려는 동기, 인지적 요소, 즉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그리고 행동적 요소, 즉 도덕적 행동의 수행으로 본다. 피아제의 도덕발달이론 피아제는 공기놀이를 하는 아동들에게 놀이와 관련된 규칙들에 대해 여러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아이들의 대답을 분석하여 도덕 추론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다..

심리학개론 2020.12.18

심리학개론/유아·아동·청소년기

이 절에서는 태어나면서부터 청소년기까지 나타나는 발달을 몇몇 주요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대략적으로, 유아기는 0~2세, 취학 전 아동기는 3~5세, 학령기는 6~11세, 청소년기는 12 ~ 20세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 우선, 이 시기에 이루어지는 신체, 감각 및 운동 발달을 살펴본 다음, 인지 발달 및 도덕 발달, 사회성 발달을 차례로 살펴볼 것이다. 1) 신체, 감각 및 운동 발달 유아기 사람들은 신생아가 무기력하고 느낄 수 없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물론 그들은 생존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만 신생아는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으며, 맛을 느낄 수도 있고, 고통과 촉감을 경험할 수 있다. 신생아는 자신의 얼굴로부터 30c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출..

심리학개론 2020.12.17

심리학개론/발달심리학의 핵심 질문

발달심리학은 한 개인의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신체적·사회적·정서적·도덕적 및 지적 발달의 과정과 원인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다. 발달이란 체계적이고, 순서적이고, 지속적인 연령 관련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질병이나 사고 혹은 약물 등을 통한 단기적이거나 뒤바뀔 수 있는 변화는 발달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날마다 바뀌거나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변화 역시 발달에 속하지 않는다. 발달심리학자들이 수행하는 연구나 그와 관련된 이론적 입장은 매우 다양 하지만, 발달 과정에 관한 다음의 세 가지 기본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그들 모두 이견이 없다. [표 1]에서 보듯이, 첫째 연속성의 문제다. 즉, 발달이 점진적인 과정인지 아니면 급격히 변화해서 새로운 형태의 사고와 행동이 갑자기 출현하는지의 문제다. 둘..

심리학개론 2020.12.16

심리학개론/정서

인간이 경험하는 가장 기본적인 느낌에는 갈증과 배고픔뿐만 아니라 즐거움이나 분노와 같은 정서(Emotion)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정서는 동기와 매우 밀접한 관계성을 가지고 있다. 정서는 동기와 같이 행동을 활성화하거나 그 행동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정서는 동기화된 행동을 수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성(sex)은 하나의 강력한 동기일 뿐만 아니라 즐거움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동기와 정서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동기와 정서를 구별해 주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가 주로 내부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반면, 정서는 주로 외부 요인에 의해 유발된다. 둘째, 동기가 주로 특정 욕구에 의해 유발되는 반면, 정서는 광범위한 종류의 자극에 의해 유발된다. 그러나 ..

심리학개론 2020.12.15

심리학개론/작업 동기

앞서 살펴본 생리적 동기는 인간과 동물 모두가 가지고 있다. 생리적 동기에 의존하여 삶을 보다 원활하게 영위해 가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생리적 동기의 충족이 주는 만족에 그치지 않고, 더 고차원적인 형태의 심리적 동기를 추구한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과 게으름을 피우는 사람의 행동을 이러한 심리적 동기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적 동기의 한 부분인 작업 동기(Work Motivation)를 통하여 인간과 일 사이의 동기 문제를 살펴보자. 1)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 동기이론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이론이 매슬로(Maslow, 1987)의 욕구위계(hierarchy of needs)이론이다. 매슬로에 의하면, 동기의 근원은 욕구로 인간은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 다섯 가지 기본 욕..

심리학개론 2020.12.14

심리학개론/생리적 동기(2)

생리적 동기1편 링크 4) 성 행동 물과 음식을 섭취하는 행동이 개체가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종(種, species)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생식(生殖, reproduction)도 필수적이다. 또한 어떤 종에게는 공격적 행동도 생존에 필수적이다. 공격성과 생식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성 행동과 공격성을 연이어 다루는 한 가지 이유다. 또 다른 이유는 성 행동과 공격성이 서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성 행동과 공격성은 앞서 살펴본 갈증, 배고픔과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차이점도 가지고 있다. 갈증과 배고픔처럼 성과 공격성도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첫째, 성과 공격성은 ..

심리학개론 2020.12.13

심리학개론/생리적 동기

1) 욕구 헐(Hull, 1943)의 추동이론(drive theory)에 따르면, [그림 1]에서 보듯이 생리적 박탈과 결핍(물, 음식, 수면 등의 부족)이 생물학적 욕구를 생성하는데, 그 욕구가 계속 충족되지 않으면 심리적 추동이 생긴다. 추동(推動)이라는 것은 생물학적 결핍에 기인하는 심리적 불편함, 즉 긴장감이나 불안감을 지칭하는 이론적 용어다. 이러한 추동 에너지는 유기체가 생리적 욕구를 해결하는 행동을 하도록 이끈다. 그러므로 욕구(need)란 유기체가 생명을 유지하고 성장하며, 안녕을 도모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간과하거나 욕구가 좌절되면 생물학적·심리적 안녕이 방해받게 된다. 동기화 상태는 이러한 방해를 받기 전에 유기체가 행동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림 1 - ..

심리학개론 202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