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심리학개론 55

심리학개론/지각과 주의

지각 과정에 대한 기존의 연구자들은 인간이 비교적 대량의 감각 정보를 매우 다르게 처리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외부 세계에 존재하는 압도적인 감각 정보의 양을 고려할 때 경우에 따라서는 정보의 선별적 처리가 불가피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인간의 정보 처리 능력에는 한계가 있으며, 매 순간 가장 중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효율적 정보 처리를 달성할 수 있다는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1) 시각 탐색 과제 감각과 지각 분야에서 이러한 선택적 정보 처리의 메커니즘을 밝히려는 시도가 선택적 주의(selective arention)에 대한 연구 분야에서 있었다. 시각 분야의 선택적 주의에 대한 연구는 시각 탐색 과제(risual search task)를 사용한 실험을..

심리학개론 2020.12.01

심리학개론/지각 과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지각의 하위 체계인 단순 물리자극을 조합해 지각의 대상인 물체의 전체적인 형태를 파악하는 처리 방식을 상향적(bottom-up) 처리라 일컫는다. 반면에 기억 또는 학습을 통해 습득한 과거의 지식이 지각의 하위 체계 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하향적(top-down) 처리라 일컫는다. 이 두 과정은 지각 과정의 여러 모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상향적 시각 정보 처리 모형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향적 정보 처리 과정을 이론화한 예로 세부특징모형(feature-matching model)이 있다. 셀프리지(Selfridge, 1959)가 제안한 이 모형에 따르면, 시각 이미지에 대한 지각은 그 이미지를 분석하고 조직화..

심리학개론 2020.11.30

심리학개론/시각 과정의 기능적 이해

시각 시스템은 다양한 시각 정보를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망막에 존재하는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는 망막의 여러 세포 사이의 체계적 연결에 의해 구성된 신경회로에서 처리된 정보를 수렴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신경절 세포는 시야의 특정 위치를 전담하여 처리하는데, 이러한 시야의 특정 분야에 대응되는 망막상의 위치를 그 세포의 수용장(receptive field)이라 명명한다. 신경절 세포의 수용장은 일반적으로 원형 구조를 가지며 수용장의 중심 부분과 주변 부분의 특성이 매우 다르다. 어떤 세포는 수용장 중앙에 빛 자극이 제시되면 활발하게 반응 하지만 빛 자극이 수용장의 주변부에 제시되면 오히려 반응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중심 흥분 - 주변..

심리학개론 2020.11.29

심리학개론/시각의 신경해부학적 구조

감각과 지각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감각기관의 신경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단락에서는 시감각기관의 신경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감각과 지각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1) 안구의 구조와 망막 인간의 시각 과정에서 가장 초기에 해당하는 눈은 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외부 세계의 사물로부터 반사된 빛은 각막(cornea)과 동공(pupil) 및 수정체(lens)를 지나 유리질(vitreous humor)을 통과하여 감각수용기가 분포하는 망막(retina)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망막에 뚜렷한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수정체는 수정체 주변의 모양체근(ciliary muscle)에 의해 두께가 조절된다. 응시의 대상이 되는 사물은 수정체의..

심리학개론 2020.11.28

심리학개론/감각과 지각의 측정

여러분은 백화점에서 산 멋진 옷이 집에 와서 다시 보니 갑자기 몇 년을 입은 색 바랜 옷처럼 느껴졌던 경험이 있는가? 분명히 옷의 색상 자체가 변화한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백화점의 조명등과 집 안의 실내등 아래 옷감의 색상은 매우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이는 백화점의 조명등과 집안의 실내등이 발산하는 빛의 특성이 다르므로 옷감의 표면이 각기 다른 파장 (wavelength)의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시각 기관은 이러한 미세한 차이를 감지할 만큼 매우 정교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외부 세계의 물리적 자극을 내면화하는 과정의 가장 초기 단계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자극의 물리적 특성을 신경전달 신호로 변환하는 감각수용기(sensory receptor)가 존재한다. 감각수용기는 외부 세계의 물리적..

심리학개론 2020.11.27

심리학개론/내분비계

신경전달물질 다음으로 유기체 내에서 정보 전달에 중요한 화학물질은 분비계(endocrine system)의 분비세포에서 생성되는 호르몬(hormone)이다. 호르몬은 분비세포에서 생성된 후 혈류로 방출되어 운반되다가 표적기관의 특정 호르몬 수용기와 결합하게 되면, 신진대사, 성장, 생식 등 특정의 생리적 효과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insulin)은 당 대사를 조절하고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바소프레신(vasopressin)은 신장으로 하여금 물을 보유하게 한다. 또한 유기체가 위급한 상황에 닥칠 때, 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 또는 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켜 부신선(adrenal gland)으로부터 코르티솔(cortisol), 에프네프린 또는 노르에프네프린 등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심리학개론 2020.11.26

심리학개론/신경계(2)

기저핵 대뇌피질을 제거할 경우에 안쪽에서 보이는 뇌 구조물, 이른바 피질하 구조물의 일부가 기저핵이다. 제3뇌실 벽 쪽에 럭비공 모양을 하고 있는 피질하 구조물이 시상인데, 이의 바로 외측(바깥쪽)에 기저핵이 위치한다. 기저핵은 미상핵(caudate nucleus), 담창구(globus pallidus), 피각(putamen)등으로 구성되는데, 서서히 일어나거나 앉기, 걷기 등 느리고 순차적인 운동의 개시 종료 및 진행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주로 담당한다. 이곳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도파민이 이런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저핵의 이런 기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신경병리학적인 증거는 파킨슨병의 원인과 증상에서 찾을 수 있다. 앞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기저핵에는 중뇌의 혹길에서 발원하..

심리학개론 2020.11.25

심리학개론/신경계

앞에서 우리는 단일 뉴런 내와 두 뉴런 사이의 정보 전달에 관여하는 전기 생리학적, 신경화학적 기제에 대하여 배웠다.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우리의 신경계 내에는 굉장히 많은 수의 뉴런이 있다. 그런데 이 많은 뉴런이 일률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말하기와 듣기 같은 서로 다른 행동의 양식은 뇌의 서로 다른 영역이 작동한 결과다. 여기에서는 특정 행동 양식에 해당하는 신경계의 주요 영역을 알아보고 이들의 기능을 개관한다. 1) 중추신경계 우리의 행동을 조절하는 중심에는 뇌와 척수, 즉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OS)가 있다. 특히, 행동 통제의 총사령탑은 뇌다. 뇌는 해부학적으로 크게 전뇌(forebrain), 중뇌(midbrain) 및 후뇌(hin..

심리학개론 2020.11.25

심리학개론/신경전달의 기본 단위(2)

3) 주요 신경전달물질의 역할 고찰한 바와 같이, 유기체의 신경계에서 뉴런 간의 정보 전달이 주로 전기적 신경신호와 신경전달물질의 협업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신경전달물질의 특성에 따라 신경정보를 받는 뉴런의 활동 양상이 달라지고 종국적으로는 이와 관련되는 행동의 양상도 변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몇몇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을 소개한다. 아세틸콜린 뇌에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은 주의(attention), 기억(mermory) 및 각성(arousal)을 주로 담당한다. 특히 기억과 관련하여 아세틸콜린의 역할을 지지할 수 있는 신경화학적 근거는 노인성 치매라고 부르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의 발생 기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질환은 기억 정보의 형성 및 저장에..

심리학개론 2020.11.23

심리학개론/신경전달의 기본 단위

각 뉴런들의 활동이 특정 행동으로 이어지는 신경생리학적인 기제와 관련하여, 이 절에서는 먼저 신경계의 기본적 구성 요소인 단일 뉴런의 주요 구조와 기능을 살펴본 다음에 뉴런과 뉴런 사이의 정보 전달의 기초가 되는 두 신경 간의 연결에 대해서 기술할 것이다. 또한 신경 연결의 실제성을 반영하여, 다수의 뉴런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가 하나로 통합되어 수용 뉴런의 최종 활동성이 결정된다는 신경통 합의 원리도 소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우리의 행동 조절에 중요한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1) 뉴런의 구조와 기능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은 몇 가지 유형이 있지만 가장 보편적인 것은 세포체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나온 다수의 수상돌기와 함께, 한 개의 축색을 갖추고 있는 다극 성 뉴..

심리학개론 2020.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