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심리학개론 55

심리학개론/연구의 윤리

1920년 왓슨(J. B. Watson)과 레이너(R, Rayner)는 11개월 된 아동인 앨버트(Albert)를 대상으로 고전적 조건 형성을 통해 공포증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들은 커다란 쇳소리(무조건 자극)와 하얀 쥐(조건 자극)를 짝지어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앨버트에게 쥐 공포증을 형성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1963년 밀그램(S. Milgram)은 '처벌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고 하고 실험에 참여할 사람들을 모집하였다. 참여자들을 두 명씩 한 조로 짝을 지은 후 한 명은 선생 역할을, 다른 한 명은 학생 역할을 맡도록 하였다. 이때 학생 역할을 맡은 사람은 실험 협조자였고, 피험자는 선생 역할을 맡도록 되어 있었다. 학생 역할 분담자에게는 암기해야 할 단어들을 주고, 선생..

심리학개론 2020.11.21

심리학개론/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2)

2) 신뢰도 타당도와 더불어 신뢰도는 좋은 연구가 확보해야 할 중요한 조건이다. 신뢰도(reliability)는 행동 측정의 일관성을 의미한다. 즉, 동일한 대상을 반복측정하면 동일한 값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동일한 대상을 반복측정하면 그 측정치가 항상 동일하지는 않다. 특히 행동의 측정에서는 더 그렇다. 이러한 변동성의 정도가 연구의 신뢰도를 결정한다. 연구자는 가능한 한 동일한 조건하에서 측정을 함으로써 이러한 변동성을 줄이려고 노력하여야 한다. 여러분의 신장을 연속 2회 측정한다고 가정해 보자. 한 번은 170.3cm, 한번은 170.8cm로 측정되었다. 이 차이가 측정의 오류에서 비롯된 것인지, 실제 키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인지 우리는 알 수 없다. 다만, 확실한 것은 아주 ..

심리학개론 2020.11.21

심리학개론/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1) 타당도 타당도는 측정하고자 의도한 것을 실제로 측정해 낸 정도를 의미하며,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로 나뉜다. 내적 타당도 내적 타당도는 연구에서 관찰한 결과에 대해서 인과관계를 확신할 수 있는가를 말한다. 즉, 연구의 결과, 독립변인의 변화가 종속변인의 변화를 유발시켰는지 혹은 그 밖의 다른 요인이 종속 변인의 변화를 유발시켰는지에 관한 문제다. 만약 종속 변인의 변화가 독립변인 때문이 아니라면 반드시 어떤 가외변인이 있었을 것이다. 실험자로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실험의 내적 타당도에 위협을 주는 요인들을 제대로 알아낼 수 있는 능력이며, 그리고 이러한 위협 요인을 피할 수 있는(즉,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다. 내적 타당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은 앞서 살펴본 가외 변인의 통제와 무선할당이다...

심리학개론 2020.11.19

심리학개론/연구의 유형(2)

2) 상관연구 상관연구(Correlational Study)는 변인 간 관계성을 알아보는 데 사용된다. 상관연구의 결과, 변인 간 관계성의 정도는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라고 불리는 하나의 수치로 표시된다. 상관계수는 -1.00에서 +1.00의 범위를 가지며 「로 표시한다. 상관계수가 양(+)의 값을 가질 때 정적 상관이라 하는데, 이는 두 변인이 동시에 함께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다. 상관계수가 + 1.00에 가까울수록 강한 정적 상관을 의미한다. 상관계수가 음(-)의 값을 가지면 부적 상관이라 하고, 하나의 변인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하나는 감소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관계수가 -1.00에 가까울수록 강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다. 상관계수가 0이라면 두 변인 사이에 아무런..

심리학개론 2020.11.18

심리학개론/연구의 유형

1) 기술적 연구 기술적 연구(Descriptive Study) 란 연구자의 추론이나 조작 없이, 어떤 행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어떤 양과 빈도로 발생하고 있는지를 수량화하는 것을 말한다. 행동의 기술은 행동 이해를 위한 첫 단계다. 정확한 기술은 올바른 해석과 설명의 초석이 된다. 자연적 관찰 자연적 관찰(Naturalistic Observation)은 자연적 환경에서 관심 있는 변인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이다. 자연적 관찰의 이점으로는, 첫째 실험 상황이 아닌 자연 상황에서 변인을 관찰할 수 있으며, 둘째 추후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고, 셋째 실험연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반면 자연적 관찰의 단점은, 첫째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둘째 변인을 과학..

심리학개론 2020.11.17

심리학개론/인과관계와 상관관계

심리학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성'을 연구한다. 관계성은 인과관계 (causual relationships)와 상관관계(correlational relationships)로 구분된다. 인과관계란 어떤 변인이 다른 변인의 변화를 야기하는 것을 말한다. 상관관계는 어떤 한 변인이 변화할 때 다른 변인도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상관관계는 변화의 방향에 따라 정적 상관(positive correlation)과 부적 상관(negative correlation)으로 나눌 수 있다. 정적 상관은 한 변인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변인도 증가하는 관계다. 부적 상관은 한 변인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변인이 감소하는 관계다. 상관관계에서는 한 변인이 다른 변인의 변화를 야기한다는 증거가 없다. 상관은 단지 두 변..

심리학개론 2020.11.16

심리학개론/횡단적 연구와 종단적 연구

심리학 연구 설계는 관찰 시점에 따라 횡단적 연구(Cross-sectional research)와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research)로 나뉜다. 횡단적 연구란 단일 시점에서 수행하는 연구를 말한다. 즉, 모든 검사 또는 측정이 한 시점에서 실시된다. 이러한 횡단적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인의 효과를 관찰하기보다는 현재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사용된다. 성격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업원을 대상으로 성격과 직무만족을 동시에 측정하였다면 이는 횡단적 연구다. 종단적 연구 동일한 사람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수행하는 연구를 말한다. 즉, 연구 개시 시점에 자료를 수집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동일한 사람에게 다시 자료를 수집한다. 연구 기간은 며칠에서 수..

심리학개론 2020.11.16

심리학개론/심리학 연구의 단계

과학적 연구는 연구 문제 선정, 연구 방법 설계, 네이터 수집 및 분석, 결론 도출, 결과 발표 등의 과정을 거친다. 1) 연구 문제의 선정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연구할 주제를 선정하여야 한다. 연구 주제는 어떤 현상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면, '남성은 여성보다 더 공격적인가?' 잠을 충분히 자면 학습 효율성이 높아지는가?'와 같은 것들이다. 이때 주의할 점은 이러한 질문은 과학적 연구가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가령, '인류는 결국 멸망할 것인가?'와 같은 질문보다는 술을 마신 뒤 콩나물국을 먹으면 속이 편안해지는가?'와 같은 질문이 더 과학적인 질문이다. 왜냐하면 해답의 도출 과정을 명확하고 세밀하게 기술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연구의 객관성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연구 주제가 정..

심리학개론 2020.11.14

심리학개론/심리학의 분야

1970 년대 이후로 심리학은 다른 학문이 수백 년에 걸쳐 이들 수 있을 정도의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으며, 현재 대부부의 대학은 전공 혹은 교양강좌로 심리학을 개설하고 있다. 많은 심리학자가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가의와 연구에 전하고 있지만, 그 밖의 여러 분사에서 다양한 발동을 하기도 한다. 어린 심리학자는 일반 기업체에서 시장, 인사 배치 그리고 생산성 향상에 관한 조사와 연구를 한다. 정신건강관련하여 원이나 다른 전문기관에서 검사나 치료를 하는 심리학자도 있다. 이 외에도 심리학자들은 동물과 인간 간의 심리과정을 비교하기도 하며, 인간의 언어 행동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기도 한다. 모든 학문이 그러하듯이 실리학적 가설과 검증을 통한 이론적 연구에 초점 을 맞춘 학자가 있는 반면, 연구 결과를 현실 세계에..

심리학개론 2020.11.13

심리학개론/현대 심리학의 관점(2)

4) 인지적 관점 최근 심리학의 경향을 보면 인지적 관점이 주도하는 소위 '인지혁명' 이라 불리는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인지적 접근은 형태주의 심리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의 결합이다. 인지심리학은 형태주의 심리학처럼 유기체의 지각과 정보 처리, 경험의 해석 등 정신의 적극적인 작용을 강조한다. 그리고 행동주의 심리학처럼 객관적이고 잘 통제된 실험실에서의 연구도 강조한다. 따라서 인지심리학은 언어적 보고에만 의존하지 않고 관찰 가능한 반응을 통해 정신적 과정을 추론한다. 그러나 정신적 작용이 행동에 별로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러나 정신적 작용이 행동에 별로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고 주장하는 극단적인 행동주의 심리학자들과 달리, 많은 인지심리학자들은 정신적 작용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는다. 또한 인간..

심리학개론 20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