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심리학개론 55

심리학개론/현대 심리학의 관점

심리학은 그 연구 방법이나 절차에 따라 다양한 관점을 갖고 있다. 인간이 어떤 대상을 고려할 때 여러 목적이나 개인적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관점에서 보는 것과 같은 이치다. 심리학에서는 크게 5가지 관점으로 연구 주제에 접근하는데, 이것은 상호 경쟁적이기보다는 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1) 행동주의적 관점 행동주의적 관점은 인간의 심리 상태를 관찰 가능한 행동을 통해 객관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인간을 설명하려고 한다. 행동주의를 이끈 사람은 앞서 소개한 미국의 심리학자 왓슨과 스키너(Skinner, 1904 ~ 1990)다. 왓슨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관찰 가능한 것을 심리학의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왓슨의 행동주의를 방법론적 행동주의(methodological behavior..

심리학개론 2020.11.11

심리학개론/초기 심리학(2)

4) 형태주의 심리학 마음을 그 구성 요소로 분석하려는 구조주의 심리학자들의 시도는 형태주의 심리학(Gestalt Psychology)을 창시한 독일의 심리학자 베르트하이머(Wertheimer, 1880~1943)에 의하여 반박되었다. 그는 인간이란 어떤 대상을 개별적 부분의 조합이 아닌 전체로 인식하는 존재라는 믿음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게슈탈트(Gestalt)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영어의 'form' 혹은 'shape'에 해당되는 말이다. 형태주의 심리학에서는 "전체는 부분의 합이 아니다."라고 단언하였다. 이런 기본적인 가정 때문에 베르트하이머는 정신적 경험을 개별 요소로 분석하려는 구조주의 심리학자들의 연구를 '벽돌과 시멘트의 심리학'이라고 비웃었다. 형태 주의자들은 어떤 내용을 구성 요소로..

심리학개론 2020.11.10

심리학개론/초기 심리학

1) 구조주의 심리학 최초의 심리학 학파인 구조주의(structuralism)는 19세기에 생겨났다. 분트로 대표되는 구조주의자들은 물질을 분석하여 세포, 분자, 원자로 분류하는 화학자나 물리학자들의 연구를 방법에 영향을 받았다. 이에 따라 구조주의자들은 마음을 구성 요소로 분석하고, 그 구성 요소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가를 발견하려고 하였다. 즉, 정신을 구성하는 요소와 내용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구조주의는 분트의 제자인 티취너(Tichener, 1867~1927)에 의해 명명되고 일반화되었다. 영국인 티취너는 코넬 대학교의 교수가 되면서 미국에 구조주의를 소개하였다. 마음을 연구하기 위해 그는 정신의 기본 요소라고 여긴 심상, 느낌, 감각의 세 가지 요소로 복잡한 정신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 ..

심리학개론 2020.11.09

심리학개론/심리학이란 무엇인가?(2)

2) 심리학의 역사 다른 과학과 마찬가지로 심리학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그뿐 아니라 사회, 문화, 역사적 맥락과 주변 학문의 발전에 영향을 받아왔다. 오늘날의 심리학을 바로 알기 위해서는 그 기원을 이해해야 한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과거 심리학의 역사나 이론을 살펴보면, 상식에서 벗어나거나 비과학적인 주장들을 접할 수 있는데, 이는 당시의 사회, 문화, 역사 또는 다른 학문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심리학의 근원 - 심리학의 역사적 근원은 철학과 과학에 있다. 19세기 후반 학자들의 마음의 연구에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면서 심리학은 비로소 하나의 독립적인 과학적 학문으로 자리를 잡았다. ⓐ 심리학의 철학적 근원 심리학의 철학적 근간은 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철학자며, 특히..

심리학개론 2020.11.08

심리학개론/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인간과 동물의 행동이나 정신 과정에 대한 다양한 질문의 답을 찾는 과학 중 하나가 바로 심리학이다. 심리학(psychology)이라는 단어는 영혼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psyche'와 어떤 주제를 연구한다는 의미의 'logos'가 합쳐진 것이다. 그래서 초기에는 심리학을 '영혼에 대한 연구'라고 하였다. 이것은 초기 심리학자들이 신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심리학의 정의는 그 연구 주제와 함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였다. 심리학이 과학으로 등장하게 된 19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비로소 '정신과학'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1920년대 초, 많은 심리학자들은 과학을 직접 관찰이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사건을 연구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직접 관찰이 불가능한 마음에 대한 연구보다 관찰 ..

심리학개론 2020.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