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심리학 19

심리학개론/망각 과정과 기억 왜곡

기억 실패, 즉 망각의 원인을 설명하는 데에는 두 가지 관점이 있다. 하나는 경쟁하는 다른 정보 때문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잊어버리는 간섭(interference) 이론이고, 또 하나는 단순히 시간이 흘러가면서 기억 항목이 점차 사라지는 쇠잔(decay) 이론이다.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 중 브라운-피터슨(Brown- Perterson) 과제의 경우, 피험자에게 3~4개의 기억 항목을 제시하고, 그가 기억 항목을 암송해야 하는 파지 간격(delay interval, 기억 항목 제시부터 검사까지 간격) 동안, 그에게 부가적 과제(방해 과제)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단기기의 저장을 방해한다. 예를 들어, 피험자가 T, F, K와 같은 알파벳 낱자를 암송하는 동안 숫자 300을 3씩 감산( 300, 297,..

심리학개론 2020.12.09

심리학개론/처리 과정으로서의 기억

앞서 설명한 애트킨슨과 쉬프린(Atkinsion & shiffrin, 1998)의 기억 모형에서는 암송과 정보의 조직화가 단기기억에 저장된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전환 과정에 대한 모형으로 인지심리학자들은 기억 공고화(memory consolication) 가설을 제인 하였다. 공고화 과정은 암송과 정보의 조직화에 따른 기억 속의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의 연합을 의미하며, 불안정하고 망각하기 쉬운 단기기억장치 속의 새로운 정보를 암송과 조직화에 의해 장기기억장치에 안정된 상대로 저장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공고화 과정의 존재에 대한 검증은 공고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연합을 방해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일례로, 스파이어(Squire, 1986)는 전기 충격 치료(e..

심리학개론 2020.12.08

심리학개론/기억 이론

기억이란 무엇일까? 인지심리학자들은 기억을 과거 경험으로부터 얻은 정 보와 지식을 유지하고 현재에 되살려 주어진 과제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으로 정의하고 있다(Tulving, 2000; Tulving & Craik, 2000), 기억은 대략적으로 부호화(encoding), 저장(storage), 인출(retrieval)의 세 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부호화는 감각 정보가 기억 속에 저장 가능한 표상(memory representation)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말하고, 저장은 부호화된 정보를 기억 속에 유지하는 역할을 일컫는다. 인출은 기억 속의 정보를 과제 수행을 위해 이끌어 내는 과정이다. 기억 연구를 위해 흔히 사용하는 과제는 크게 회상 과제(recall task)와 재인 과제(re..

심리학개론 2020.12.07

심리학개론/조작적 조건화(3)

3) 자극 통제 조작적 조건화에서 특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강화와 처벌 같은 그 행동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꼭 결과만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행동이 발생하기 전에 존재하는 자극 상황 역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실험용 쥐를 실험 상자에 넣어 두고 고정비율 1(FR 1) 스케줄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시켜(즉, 쥐가 지렛대를 한 번 누를 때마다 한 번씩 먹이가 나오도록 실험 상황을 조작함) 그 행동의 빈도가 높아졌다고 가정해 보자. 이 상황에서 실험 상자 위에 빨간 전구와 파란 전구를 하나씩 설치한 후, 30초 동안은 빨간 불을 켜 두고 그다음 30초 동안은 파란 불을 켜 두는 과정을 되풀이한다. 그리고 빨간 불이 켜진 상태에서는 항상 F..

심리학개론 2020.12.06

심리학개론/조작적 조건화(2)

소거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의 연합이 줄어듦에 따라 조건 반응의 소거가 이루어진다. 이에 비해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강화에 의해 행동의 빈도가 증가한 경우, 강화인의 제공이 감소함에 따라 그 행동의 빈도도 감소하여 소거가 이루어진다. 즉, 조작적 조건화에서 소거란 강화인이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 행동의 빈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스키너는 이 소거 현상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어느 날 실험실에서 쥐에게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시키는 도중 기계의 오작동으로 쥐가 지렛대를 눌러도 음식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그러자 쥐는 지렛대 누르는 행동을 점차 보이지 않더니 결국에는 그 행동을 전혀 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소기 현상은 인간에게도 흔히 나타난다. 한 학생이 교실에서 선생님의 질..

심리학개론 2020.12.05

심리학개론/내분비계

신경전달물질 다음으로 유기체 내에서 정보 전달에 중요한 화학물질은 분비계(endocrine system)의 분비세포에서 생성되는 호르몬(hormone)이다. 호르몬은 분비세포에서 생성된 후 혈류로 방출되어 운반되다가 표적기관의 특정 호르몬 수용기와 결합하게 되면, 신진대사, 성장, 생식 등 특정의 생리적 효과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insulin)은 당 대사를 조절하고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바소프레신(vasopressin)은 신장으로 하여금 물을 보유하게 한다. 또한 유기체가 위급한 상황에 닥칠 때, 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 또는 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켜 부신선(adrenal gland)으로부터 코르티솔(cortisol), 에프네프린 또는 노르에프네프린 등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심리학개론 2020.11.26

심리학개론/신경전달의 기본 단위(2)

3) 주요 신경전달물질의 역할 고찰한 바와 같이, 유기체의 신경계에서 뉴런 간의 정보 전달이 주로 전기적 신경신호와 신경전달물질의 협업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신경전달물질의 특성에 따라 신경정보를 받는 뉴런의 활동 양상이 달라지고 종국적으로는 이와 관련되는 행동의 양상도 변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몇몇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을 소개한다. 아세틸콜린 뇌에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은 주의(attention), 기억(mermory) 및 각성(arousal)을 주로 담당한다. 특히 기억과 관련하여 아세틸콜린의 역할을 지지할 수 있는 신경화학적 근거는 노인성 치매라고 부르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의 발생 기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질환은 기억 정보의 형성 및 저장에..

심리학개론 2020.11.23

심리학개론/신경전달의 기본 단위

각 뉴런들의 활동이 특정 행동으로 이어지는 신경생리학적인 기제와 관련하여, 이 절에서는 먼저 신경계의 기본적 구성 요소인 단일 뉴런의 주요 구조와 기능을 살펴본 다음에 뉴런과 뉴런 사이의 정보 전달의 기초가 되는 두 신경 간의 연결에 대해서 기술할 것이다. 또한 신경 연결의 실제성을 반영하여, 다수의 뉴런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가 하나로 통합되어 수용 뉴런의 최종 활동성이 결정된다는 신경통 합의 원리도 소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우리의 행동 조절에 중요한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1) 뉴런의 구조와 기능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은 몇 가지 유형이 있지만 가장 보편적인 것은 세포체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나온 다수의 수상돌기와 함께, 한 개의 축색을 갖추고 있는 다극 성 뉴..

심리학개론 2020.11.22

심리학개론/연구의 윤리

1920년 왓슨(J. B. Watson)과 레이너(R, Rayner)는 11개월 된 아동인 앨버트(Albert)를 대상으로 고전적 조건 형성을 통해 공포증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들은 커다란 쇳소리(무조건 자극)와 하얀 쥐(조건 자극)를 짝지어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앨버트에게 쥐 공포증을 형성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1963년 밀그램(S. Milgram)은 '처벌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고 하고 실험에 참여할 사람들을 모집하였다. 참여자들을 두 명씩 한 조로 짝을 지은 후 한 명은 선생 역할을, 다른 한 명은 학생 역할을 맡도록 하였다. 이때 학생 역할을 맡은 사람은 실험 협조자였고, 피험자는 선생 역할을 맡도록 되어 있었다. 학생 역할 분담자에게는 암기해야 할 단어들을 주고, 선생..

심리학개론 2020.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