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임상심리학 4

심리학개론/투사적 검사(로르샤하검사,주제통각검사,그림검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성격검사는 크게 성격이 겉으로 드러난 행동을 평가하는 것, 개인의 행동, 감정, 태도를 내성적으로 분석하는 것, 그리고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개인의 무의식적 측면의 역동성을 평가하는 검사 도구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임상장면에서는 겉으로 관찰할 수 없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무의식적이고 역동적인 성격 구조를 분석해야 할 경우가 많은데, 이때 사용되는 방법이 투사적 기법(projective technique)의 검사들이다. 이러한 투사적 기법은 검사자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하고 뚜렷한 표준화도 없을 뿐만 아니라, 신뢰성이나 타당성을 명확히 검증할 수 없는 검사로서 많은 심리학자로부터 냉대를 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상 심리학자들의 꾸준한 연구와 역동적 성격 이론을 기..

심리학개론 2020.12.29

심리학개론/심리평가의 이해- 심리평가의 정의와 목적

이 절에서는 심리평가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와 함께 주로 사용되는 검사 도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비록 심리평가라는 용어보다는 심리검사라는 용어가 더 익숙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굳이 이들을 구분하는 것은 한 개인을 평가하는 데 단순히 심리검사 결과에만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더 나아가 단편적이며 잘못된 해석을 내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리평가 (psychological assessment)란 심리검사, 면담 그리고 행동 관찰 등 여러 방법으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일련의 전문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Goldstein & Hersen, 1990), 물론 심리평가 과정에서 심리 검사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정이지만, 이외에도 개인 기록이나 면담, 자연적 상황..

심리학개론 2020.12.20

심리학개론/유아·아동·청소년기

이 절에서는 태어나면서부터 청소년기까지 나타나는 발달을 몇몇 주요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대략적으로, 유아기는 0~2세, 취학 전 아동기는 3~5세, 학령기는 6~11세, 청소년기는 12 ~ 20세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 우선, 이 시기에 이루어지는 신체, 감각 및 운동 발달을 살펴본 다음, 인지 발달 및 도덕 발달, 사회성 발달을 차례로 살펴볼 것이다. 1) 신체, 감각 및 운동 발달 유아기 사람들은 신생아가 무기력하고 느낄 수 없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물론 그들은 생존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만 신생아는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으며, 맛을 느낄 수도 있고, 고통과 촉감을 경험할 수 있다. 신생아는 자신의 얼굴로부터 30c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출..

심리학개론 2020.12.17

심리학개론/조작적 조건화(3)

3) 자극 통제 조작적 조건화에서 특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강화와 처벌 같은 그 행동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꼭 결과만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행동이 발생하기 전에 존재하는 자극 상황 역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실험용 쥐를 실험 상자에 넣어 두고 고정비율 1(FR 1) 스케줄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시켜(즉, 쥐가 지렛대를 한 번 누를 때마다 한 번씩 먹이가 나오도록 실험 상황을 조작함) 그 행동의 빈도가 높아졌다고 가정해 보자. 이 상황에서 실험 상자 위에 빨간 전구와 파란 전구를 하나씩 설치한 후, 30초 동안은 빨간 불을 켜 두고 그다음 30초 동안은 파란 불을 켜 두는 과정을 되풀이한다. 그리고 빨간 불이 켜진 상태에서는 항상 F..

심리학개론 2020.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