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인간행동 2

심리학개론/조작적 조건화(3)

3) 자극 통제 조작적 조건화에서 특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강화와 처벌 같은 그 행동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꼭 결과만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행동이 발생하기 전에 존재하는 자극 상황 역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실험용 쥐를 실험 상자에 넣어 두고 고정비율 1(FR 1) 스케줄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시켜(즉, 쥐가 지렛대를 한 번 누를 때마다 한 번씩 먹이가 나오도록 실험 상황을 조작함) 그 행동의 빈도가 높아졌다고 가정해 보자. 이 상황에서 실험 상자 위에 빨간 전구와 파란 전구를 하나씩 설치한 후, 30초 동안은 빨간 불을 켜 두고 그다음 30초 동안은 파란 불을 켜 두는 과정을 되풀이한다. 그리고 빨간 불이 켜진 상태에서는 항상 F..

심리학개론 2020.12.06

심리학개론/조작적 조건화(2)

소거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의 연합이 줄어듦에 따라 조건 반응의 소거가 이루어진다. 이에 비해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강화에 의해 행동의 빈도가 증가한 경우, 강화인의 제공이 감소함에 따라 그 행동의 빈도도 감소하여 소거가 이루어진다. 즉, 조작적 조건화에서 소거란 강화인이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 행동의 빈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스키너는 이 소거 현상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어느 날 실험실에서 쥐에게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시키는 도중 기계의 오작동으로 쥐가 지렛대를 눌러도 음식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그러자 쥐는 지렛대 누르는 행동을 점차 보이지 않더니 결국에는 그 행동을 전혀 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소기 현상은 인간에게도 흔히 나타난다. 한 학생이 교실에서 선생님의 질..

심리학개론 2020.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