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심리학연구 3

심리학개론/연구의 윤리

1920년 왓슨(J. B. Watson)과 레이너(R, Rayner)는 11개월 된 아동인 앨버트(Albert)를 대상으로 고전적 조건 형성을 통해 공포증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들은 커다란 쇳소리(무조건 자극)와 하얀 쥐(조건 자극)를 짝지어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앨버트에게 쥐 공포증을 형성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1963년 밀그램(S. Milgram)은 '처벌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고 하고 실험에 참여할 사람들을 모집하였다. 참여자들을 두 명씩 한 조로 짝을 지은 후 한 명은 선생 역할을, 다른 한 명은 학생 역할을 맡도록 하였다. 이때 학생 역할을 맡은 사람은 실험 협조자였고, 피험자는 선생 역할을 맡도록 되어 있었다. 학생 역할 분담자에게는 암기해야 할 단어들을 주고, 선생..

심리학개론 2020.11.21

심리학개론/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1) 타당도 타당도는 측정하고자 의도한 것을 실제로 측정해 낸 정도를 의미하며,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로 나뉜다. 내적 타당도 내적 타당도는 연구에서 관찰한 결과에 대해서 인과관계를 확신할 수 있는가를 말한다. 즉, 연구의 결과, 독립변인의 변화가 종속변인의 변화를 유발시켰는지 혹은 그 밖의 다른 요인이 종속 변인의 변화를 유발시켰는지에 관한 문제다. 만약 종속 변인의 변화가 독립변인 때문이 아니라면 반드시 어떤 가외변인이 있었을 것이다. 실험자로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실험의 내적 타당도에 위협을 주는 요인들을 제대로 알아낼 수 있는 능력이며, 그리고 이러한 위협 요인을 피할 수 있는(즉,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다. 내적 타당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은 앞서 살펴본 가외 변인의 통제와 무선할당이다...

심리학개론 2020.11.19

심리학개론/심리학 연구의 단계

과학적 연구는 연구 문제 선정, 연구 방법 설계, 네이터 수집 및 분석, 결론 도출, 결과 발표 등의 과정을 거친다. 1) 연구 문제의 선정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연구할 주제를 선정하여야 한다. 연구 주제는 어떤 현상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면, '남성은 여성보다 더 공격적인가?' 잠을 충분히 자면 학습 효율성이 높아지는가?'와 같은 것들이다. 이때 주의할 점은 이러한 질문은 과학적 연구가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가령, '인류는 결국 멸망할 것인가?'와 같은 질문보다는 술을 마신 뒤 콩나물국을 먹으면 속이 편안해지는가?'와 같은 질문이 더 과학적인 질문이다. 왜냐하면 해답의 도출 과정을 명확하고 세밀하게 기술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연구의 객관성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연구 주제가 정..

심리학개론 2020.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