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설명한 애트킨슨과 쉬프린(Atkinsion & shiffrin, 1998)의 기억 모형에서는 암송과 정보의 조직화가 단기기억에 저장된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전환 과정에 대한 모형으로 인지심리학자들은 기억 공고화(memory consolication) 가설을 제인 하였다. 공고화 과정은 암송과 정보의 조직화에 따른 기억 속의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의 연합을 의미하며, 불안정하고 망각하기 쉬운 단기기억장치 속의 새로운 정보를 암송과 조직화에 의해 장기기억장치에 안정된 상대로 저장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공고화 과정의 존재에 대한 검증은 공고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연합을 방해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일례로, 스파이어(Squire, 1986)는 전기 충격 치료(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