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심리학자 2

심리학개론/투사적 검사(로르샤하검사,주제통각검사,그림검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성격검사는 크게 성격이 겉으로 드러난 행동을 평가하는 것, 개인의 행동, 감정, 태도를 내성적으로 분석하는 것, 그리고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개인의 무의식적 측면의 역동성을 평가하는 검사 도구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임상장면에서는 겉으로 관찰할 수 없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무의식적이고 역동적인 성격 구조를 분석해야 할 경우가 많은데, 이때 사용되는 방법이 투사적 기법(projective technique)의 검사들이다. 이러한 투사적 기법은 검사자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하고 뚜렷한 표준화도 없을 뿐만 아니라, 신뢰성이나 타당성을 명확히 검증할 수 없는 검사로서 많은 심리학자로부터 냉대를 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상 심리학자들의 꾸준한 연구와 역동적 성격 이론을 기..

심리학개론 2020.12.29

일상심리학/만약 교수와 부딪힌다면(성적대상화에 따른 자신감과 학업흥미)

교수가 학생과 부딪힐 때 학생의 학문적 관심과 정신 건강은 어떻게될까? 프린스턴 대학의 심리학 학자인 Alexandra Laird와 Emily Prophin의 최근 연구는 이러한 질문들을 탐구했습니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무작위로 남녀 참가자들의 절반을 그들의 교수와 맞닥뜨리는 것을 상상하도록 했습니다. 그런 다음 참가자들에게 이 상황에서 앞으로의 학문적 관심, 자존감 및 기타 다양한 항목을 평가하기 위해 질문을했습니다. 그들은 참가자의 성별에 관계없이 교수와 부딪히는 것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교수가 가르치고 있는 학문 분야에 대한 관심과 현재의 자존감이 감소 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러나 여성 참가자의 경우 효과가 훨씬 더 심했고 여성 참가자가 교수의 행동이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불러 일으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