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실패, 즉 망각의 원인을 설명하는 데에는 두 가지 관점이 있다. 하나는 경쟁하는 다른 정보 때문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잊어버리는 간섭(interference) 이론이고, 또 하나는 단순히 시간이 흘러가면서 기억 항목이 점차 사라지는 쇠잔(decay) 이론이다.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 중 브라운-피터슨(Brown- Perterson) 과제의 경우, 피험자에게 3~4개의 기억 항목을 제시하고, 그가 기억 항목을 암송해야 하는 파지 간격(delay interval, 기억 항목 제시부터 검사까지 간격) 동안, 그에게 부가적 과제(방해 과제)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단기기의 저장을 방해한다. 예를 들어, 피험자가 T, F, K와 같은 알파벳 낱자를 암송하는 동안 숫자 300을 3씩 감산( 300,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