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MMPI 2

심리학개론/객관적 성격검사[심리측정과 평가]

1) 성격검사의 발달 심리학 분야에서 성격만큼 그 개념과 이론이 다양하고 논의가 많은 것도 드물 것이다. '도대체 성격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많은 학자가 그 해답을 찾으려고 노력하였지만 그 누구도 “성격이란 바로 이것이다.” 라고 정의 내리지 못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대개 성격에 대한 정의를 내릴 때 독특성과 안정성을 전제로 한다. 즉, 성격은 한 개인을 타인과 구별 짓게 하는 독특성이 있으며, 이런 독특성이 순간적이거나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매우 안정되고 일관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성격 연구의 대가인 올포드(Allport)는, 성격이란 한 개인의 특징적 행동과 사고를 결정하는 개인 내부의 정신신체적 체제의 역동적 조직체라고 하였으며, 길포드는 한 개인의 독특한 특성이라고 정의하였다...

심리학개론 2020.12.29

심리학개론/심리검사의 발달[심리측정과 평가]

심리검사의 기원 속에 동·서양의 시험제도까지도 포함시킬 수 있으나, 객관적인 검사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시기를 19세기 이후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대략 1800년대 이전에는 사람들 간의 개인차를 인정하지 않았고, 어떤 능력에서 차이가 생기면 그것은 게으르거나 의지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1800년대 중엽, 지능의 유전 가능성과 개인 능력의 측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갈톤(Galton)은 간단한 감각-운동검사를 개발하여 개인차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고, 개인차를 강조하는 영국의 생물학 분야의 발전과 측정 이론을 뒷받침하는 통계학의 발전이 심리검사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와 함께 1897년 흔히 심리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분트(Wundt)에 의해 실험심리학이 발전하면서, 물리학처..

심리학개론 2020.12.23